자유게시판

 

 

 
 

I D

 

PW

회원가입

아이디/비번찾기

 

      병휘이야기
      방송기사
      커뮤니티
      갤러리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회원자료실
      예매신청
      Friends

 

 

이   름     보성
제   목     추석이라....


학교다닌면서 국사를 배울때 추석의 기원을 신라에서 찾았다는 식으로 설명을 들었습니다.

그도 그럴 것이 삼국사기를 바탕으로 나온 이야기니...

그러나 고대국가에서는 저마다 가을에 제천행사를 했었죠.

영고 (부여 제천의식) [迎鼓]

우리나라 연맹왕국의 하나인 부여에서 행했던 제천의식.
집단적인 농경의례의 성격을 가진 것으로 수확제·추수감사제라고 할 수 있다. 〈삼국지〉 위지동이전 부여조에 "은(殷)나라 정월에 하늘에 대해 제사하는데, 이때 형벌과 옥사를 중단하고 죄수들을 풀어주었다"(以殷正月祭天國中大會連日飮食歌舞名曰迎鼓於是時斷刑獄解囚徒)고 했다. 〈후한서〉에도 같은 내용이 전해지는데 그 시기를 납월(臘月)이라 했다. 이는 12월의 다른 명칭으로 은정월과 같다. 일찍 농경사회가 시작된 우리 고대사회의 대부분은 추수가 끝날 무렵 대대적인 농경의례를 행했는데, 고구려의 동맹(東盟), 동예의 무천(舞天), 삼한의 10월제가 이에 속한다. 영고를 부여어의 한자표기로 보기도 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맞이굿[迎神祭]과 같은 성격의 것으로 보고, 북[鼓]이 활과 화살처럼 하늘과 통하는 신비력을 지녔다고 여긴 예맥(濊貊) 계통의 사회 풍속에서 나온 종교행사였다고 보기도 한다. 〈삼국지〉에는 부여가 자리잡은 지역이 동이(東夷) 지역 중에서도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며, 오곡이 자라기에 적당하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또 옛 부여 풍속으로 가뭄이나 장마가 계속되어 오곡이 제대로 영글지 않으면 그 허물을 국왕에게 돌려 왕을 바꾸거나 죽이자는 논의가 있었던 것으로 보아 부여는 기본적으로 농경을 주된 산업으로 삼고 있었던 사회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영고라는 행사가 행해진 때가 유독 겨울이었던 점은 부여사회에 유목이나 수렵의 전통이 강하게 남아 있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부여의 경우 중앙의 최고 관직명이 가축의 이름을 딴 것이고, 납월의 '납'(臘)이 제사의 명칭으로 짐승을 사냥하여 선조를 제사하는 데서 비롯되었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한다
 
무천 (동예 제천의식) [舞天]
한국 고대 종족의 하나였던 (濊)의 제천의식.
〈삼국지〉와 〈후한서〉 예전에 기록이 전한다. 〈삼국지〉에 의하면 예에서는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을 마시며 노래부르고 춤추니 이를 무천이라 한다. 또 호랑이를 신으로 여겨 제사지낸다"(常用十月節祭天 晝夜飮酒歌舞 名之爲舞天 又祭虎以爲神)라고 했다. 예는 농경을 주된 산업으로 삼고 있던 사회로서, 그 주민들은 별자리를 보고 그해의 풍흉을 알았고, 삼베를 생산하고 누에를 쳐서 옷감을 만들었다. 따라서 농사가 끝난 10월에 행해진 무천은 일종의 추수감사제에 해당하는 농경의례였다고 할 수 있다. 일찍이 농경사회로 진입한 우리 고대사회의 다른 지역에서도 대부분 이러한 농경의례를 행하고 있었다. 부여의 영고(迎鼓), 고구려의 동맹(東盟), 삼한의 10월제와 같은 것이 이러한 종류에 해당된다
 
동맹

고구려에서 10월에 행하던 제천의식.
일종의 추수감사제로 동명(東明)이라고도 하여 고구려 국조신(國祖神)에 대한 제사의식이라는 성격을 함께 지니고 있었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 고구려조에는 "10월에 지내는 제천행사는 국중대회(國中大會)로 이름하여 동맹이라 한다. 그 나라의 동쪽에 큰 굴이 있는데 그것을 수혈(隧穴)이라 부른다. 10월 국중대회 때는 수신을 맞이하여 돌아와서는 수도의 동쪽 물가에서 제사를 지내는데, 나무로 만든 수신을 신좌(神坐)에 모신다"고 했다. 수신의 성격에 대해서는 단군신화의 혈신(穴神), 즉 웅녀신(熊女神)을 가리키는 것으로, 국토신·생산신인 수혈신을 맞아 수도 동쪽 물가에서 제사지냈다는 것은 동명신화에서 하백녀가 청하(淸河)의 웅심연(熊心淵)에서 해모수(解慕漱)와 결합했다는 구성과 연관되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동맹이 농경사회에서 이루어지는 추수감사제와 같은 성격의 것인 만큼 수신은 곡신(穀神), 즉 지모신(地母神)을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고구려 주몽신화에서 주몽의 어머니로 나오는 하백의 딸 유화(柳花)가 농업을 주관하는 지모신의 성격을 갖는 것과 같다. 그런데 고구려의 동맹은 고려시대에 와서도 계승되고 있다. 즉 〈송사 宋史〉 고려전에는 "10월 보름에 나라 동쪽에 있는 굴의 세신(歲神)을 모셔다 제사하는데 이를 팔관재(八關齋)라 한다"고 했고, 서긍(徐兢)의 〈선화봉사고려도경 宣和奉使高麗圖經〉에서도 고려가 고구려를 계승한 나라라는 전제하에서 10월에 팔관재를 성대히 치르는 것과 함께 왕실의 조묘(祖廟)가 동문 밖에 있었다는 사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러나 팔관회를 비롯한 공식적인 불교행사가 폐지된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사라졌다. 다만 민간신앙의 차원에서 최근까지 명맥을 이어온 동제(洞祭)에서 신목(神木)을 모신다든가 당굴을 당집으로 삼는 점이 그 유습으로 짐작될 뿐이다.
 
5월제 10월제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의하면 삼한에서는 매년 5월에 파종이 끝나면 귀신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 이 행사에서는 떼를 지어 모여서 노래와 춤을 즐기고 술마시고 노는 데 밤낮을 가리지 않았다. 춤은 수십 명이 모두 일어나서 뒤를 따라가며 땅을 밟고 구부렸다 치켜들었다 하며 손과 발로 장단을 맞추었다. 그리고 10월에 농사일을 마치고 나서도 이렇게 했다고 한다. 이러한 추수감사제는 삼한뿐만 아니라 다른 사회에서도 행해졌다. 고구려의 동맹(東盟), 부여의 영고(迎鼓), 동예의 무천(舞天) 등이 그것으로 부여의 영고는 10월이 아니라 12월에 행해졌다. 이러한 고대사회의 집단적인 의례는 농업이 발전함에 따라 농업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자연, 즉 하늘에 대한 제사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면서 시작된 것이다. 그리고 고대사회 초기 아직 공동체적인 관계가 강하게 남아 있을 동안에는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구분을 넘어서는 집단성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농경의례는 이후에도 추수가 끝난 뒤에 치러지는 10월상달과 같은 풍속으로 계속 이어졌다. 10월에 거행되는 마을의 동제(洞祭)와 집안의 가신제(家神祭) 등이 모두 그러한 맥락에서 생겨난 풍속이다.
 
 
팔관회 (신라·고려 종교의식)  [八關會]
신라와 고려시대에 행한 국가적인 종교의식.
〈삼국사기〉에 의하면 팔관회는 551년(진흥왕 12) 처음 행해진 이래 4차례의 기록이 보인다. 신라 때 행해진 팔관회는 모두 호국적인 성격이 짙으며, 10월과 11월에 행해진 것으로 보아 종래 제천의식과 불교가 결합되어 행해진 의식인 듯하다. 고려시대에도 유교가 성하던 성종대를 제외하고는 연등회와 함께 국가의 2대 의식의 하나로 중요시되었다. 이때의 팔관회는 불교적인 색채를 거의 띠지 않아 천령(天靈)·오악(五嶽)·명산(名山)·대천(大川)·용신(龍神) 등 토속신에게 지내는 의식과 같았다. 팔관회는 개경과 서경에서만 행해졌는데 개경에서는 11월 15일에, 서경에서는 10월 15일에 열렸다. 개경에서 행하는 팔관회 의식에는 행사 전날에 행하는 소회일(小會日)과 행사 당일에 하는 대회일(大會日)이 있다. 소회일에는 왕이 불법을 통해 호국을 염원하기 위해서 법왕사(法王寺)에 가는 것이 보통이었고, 때에 따라 위봉루(威鳳樓) 또는 신봉루 등에서 여러 신하들의 축하인사를 받거나 군신간의 헌수(獻壽), 그리고 지방 수령들의 선물 봉정식이 있었다. 대회일에도 축하와 헌수를 받았으며, 외국 사신들의 인사를 받기도 하고 개경의 팔관회를 이용하여 무역도 이루어졌다. 서경의 팔관회는 조상제의 성격을 띤 예조제(藝祖祭)로서 정부에서는 보통 재상을 파견하여 재제(齋祭)를 행했다. 팔관회는 고려 초기에 성하다가 현종 이후부터 점차 쇠퇴했다. 그러나 고려말까지 국가 최고의 의식으로 행해졌으며, 몽골 침입으로 강화도에 천도한 시기에도 이 의식이 행해졌다. 그러나 조선이 건국되면서 배불정책에 따라 철폐되었다.
 
출처:브리태니커

 
....
결국 추석이란 신라의 그것이 아니라 고대 우리나라 모든 국가들이 행했던 의식에서 유래되었다고 보는 게
타당할 것 같습니다. 음력 8월15일 이라는 날짜는 중국에서 들어 온 듯 하고요...
 
 


인쇄하기  (작성일 : 2010년 09월 17일 (13:35),   조회수 : 3711)

이전글    전태일다리이름찾기 캠페인에 노래로 함께 해주신 손병휘님...
다음글    [손병휘님 출연]길바닥 4색 콘서트...